인천 버스 75

최근 편집일시 : (♥ 0)

||




1. 노선 정보
2. 개요
3. 역사
4. 특징
4.1. 일평균 승차인원
5. 연계 철도역


1. 노선 정보[편집]


파일:인천광역시 휘장_White.svg 인천광역시 간선버스 75번
[ 지도 노선도 보기 ]
파일:240302_인천_75번_지도노선도.svg
기점인천광역시 서구 왕길동(왕길동(기점/종점))종점인천광역시 계양구 귤현동(귤현차량사업소)
종점행첫차05:00기점행첫차06:00
막차23:00막차23:55
평일배차13~17분주말배차토요일 16~21분 / 공휴일 18~25분
운수사명미추홀교통인가대수10대[1]
노선왕길동(기점) - 왕길고가 - 안동포사거리입구 - 완정사거리 - 보람프라자앞 - 창신초등학교 - 도담공원.푸르지오더베뉴 - 인천지방법원북부지원입구 - 이음대로.대성베르힐 - 장기동 - 계양역귤현역 → 귤현차량기지(안골공원) → 이후 역순


2. 개요[편집]


미추홀교통에서 운행하는 간선버스 노선으로, 왕복 운행거리는 33.93km다. 전체 정류장 목록


3. 역사[편집]


  • 공동 배차제로 운행했다가 2000년 3월 개별배차제 시행으로 영풍운수가 노선을 배정받아 운행을 시작하였다.

  • 2003년 12월에 운행회사가 영풍운수에서 인천선진교통으로 이관되었다.

  • 2009년 4월 3일에 운행회사가 인천선진교통에서 인천제물포교통으로 다시 한 번 이관되었다.


  • 2016년 초반에 검단신도시 개발로 인해 인천영어마을~귤현직업전문학교 구간이 단축되었다. 회차는 갈현교 정류장에서 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.

파일:external/blogfiles.naver.net/75.png
2016년 폐선 이전 모습
  • 2016년 7월 30일 시내버스 개편으로 인해 임시로 폐선되었다. 폐선 사유는 인천영어마을 지역이 검단신도시 개발 구획에 포함되었기 때문. 계양역~귤현동 구간은 76번이, 나머지 구간 583번[2] 대체한다.[3]

  • 2022년 6월 4일 폐선 사유였던 검단신도시 개발이 완료되자, 해당 지역의 교통 편의를 위해 폐선 약 6년 만에 부활하였고, 운영사가 인천선진교통으로 다시 이관되었다. 노선이 2016년 초반과 비교해 약간 바뀌었는데, 다남동/목상동 경유 대신 장기동 경유로 변경되고[4], 귤현동 내부 구간이 변경된[5] 대신 기점이 왕길동으로 연장되었다. 차량은 12번에서 차출하였다.

  • 2022년 9월 3일 12번에서 3대가 차출 및 75번에 3대가 증차되어 배차간격이 평일 25분~34분/주말 및 공휴일 31분~43분에서 평일 16~21분/주말 및 공휴일 21분~28분으로 줄어들었다.#

  • 2024년 3월 2일에 검단신도시 교통 대책으로 2대가 증차되어 배차간격이 평일 16~21분, 주말 21~28분에서 평일 13~17분, 주말 16~21분로 단축되고 공휴일감차가 시행 되어 일요일 및 공휴일에는 18~25분으로 변경됨과 동시에, 백승아파트 정류장과 안골공원 정류장 사이에 귤현차량사업소 정류장이 추가되고, 인혜학교와 장기동을 경유하도록 노선이 변경됐다. ##

  • 2024년 6월 8일부터 도담공원.인천이음중학교(서측)(89482) 정류장이 차량 진행 반대방향으로 약간 옮겨지면서 추가로 정차한다.


4. 특징[편집]


  • 현금 승차가 불가능하다.

  • 검단신도시 신규 입주 아파트단지와 인근 철도역인 완정역과 계양역을 연계하는 역할을 한다. 폐선 전에도 해당 지역과 계양역을 연계하는 역할을 했다. 2016년 이전에는 1대로만 운행하여 배차간격이 1시간에 달했으나, 부활 이후 준수한 배차간격으로[6] 이용객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.

  • 고산터널을 경유하는 최초의 버스 노선이며, 귤현동 회차 구간은 77번과 동일하다.[7] 또한 고산후로[8]상 정류소에서는 계양역 방면으로 77번과 정류소 방향이 반대이므로 주의해서 이용해야 한다.

  • 2016년 폐선 전, 당시 다남동에 위치한 유기동물 보호센터로 유기견이나 유기묘들을 입양하는 승객들의 수요가 꽤 많은 편이었으며, 이 승객들이 전철을 타고 계양역에 내려서 대거 이용하는 경우가 있었다.

  • 이음대로를 전구간 완주하여 출근시간대 검단신도시 남부에서는 탑승이 거의 불가능하다.[9]


4.1. 일평균 승차인원[편집]


인천광역시 간선버스 75번
연도일평균 승차량전년대비 변동폭
2022년1,476명-
2023년2,970명△ 1,494
※ 하차인원 미포함
  • 2022년 자료는 개통일인 6월 4일부터 12월 31일까지 210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.
  • 출처: 교통카드 빅데이터 통합정보시스템
  • 데이터 누락이나 오류로 인해 실제 승차량보다는 낮게 집계되니 단순 참고용으로만 확인하기 바람.


5. 연계 철도역[편집]




파일:CC-white.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-12-15 00:33:18에 나무위키 인천 버스 75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.


[1] 토요일 8대 /공휴일 및 일요일 7대 운행.[2] 2016년 초반에 단축된 구간까지 대체하고 있다.[3] 노선이 부활한 현 시점에서도 해당 구간을 경유하지 않기 때문에, 지금도 해당 지역으로 가려면 이 두 대체노선을 이용하는 것이 낫다.[4] 초기 계획은 2016년 이전처럼 목상동을 경유하는 것이었지만, 인천 1호선 검단 연장 공사로 대형차량의 운행이 곤란해져 개통 전 장기동 경유로 변경되었다.[5] 과거 폐선 이전 75번이 다니던 귤현동 일부 구간은 대형차량이 들어가기 곤란해 어쩔 수 없이 차량기지 순환으로 변경된 것이다.[6] 검단신도시 내부에서 87번, 30번 다음으로 자주 온다.[7] 82번과는 반대이다.[8] 창신초등학교, 보스턴힐 정류장[9] 탑승이 불가능할 경우에는 남부에서 출발하는 인천 버스 583을 노려야 한다.